티스토리 뷰

네트워크

FTP 이론.

금전 2018. 4. 10. 17:39

FTP란?

 

-File Transfer Protocol로,

인터넷 상의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원하는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TCP/IP 응용 프로토콜이다.

 

- FTP 서버가 동작하는 시스템에서, FTP 클라이언트가 동작되고 있는 시스템으로부터 명령어를 받아들이는 클라이언트. 서버 프로토콜이다.

 

- 파일을 송수신할 때는 원격 호스트 컴퓨터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계정과 패스워드가 있어야 한다.

 

 

FTP의 특징

 

- 서로 다른 시스템 사이에서 동작되고, 하나의 시스템 사용자들로부터 운영 시스템과는 관계없이 다른 종류의 시스템과 연결된다.

 

- FTP 클라이언트는 대화식으로 클라이언트보다 상위 계층 요소 기술이 필요하다.

 

- 텍스트 명령어 중심의 인터페이스에서 동작하며, 제한된 파일 형식과 파일 구조를 지원한다.

 

- 접속에는 계정 접속과 익명 접속 두 가지가 있다.

계정 접속은 FTP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계정이 필요하고, 익명 접속은 다수가 로그인할 때 Anonymous FTP라는 계정이 필요하다.

 

- 로컬 시스템과, 원격 시스템간의 파일 전송 프로토콜 기능을 제공한다.

 

- Telnet, Rlogin, Rsh와 같은 원격 접속 프로토콜은 파일 전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서버 대 호스트간의 파일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 파일 전송 형태는 파일 특성에 따라 이진 형태와 텍스트 형태로 구성된다. 전송 파일에 따라 모드를 구분해야 한다.

 

 

FTP 포트의 사용과 명령

 

프로토콜 : TCP

사용 포트

20번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데이터 전송 용도의 포트

21번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보내는 명령을 제어하는 용도의 포트

클라이언트 접속 명령 FTP : [접속지 주소]

 

- 익명 사용자가 FTP 사이트의 특정 디렉터리에 파일을 업로드하려면, 쓰기/사용 권한을 부여받아야 한다.

 

- 다른 응용 프로토콜과 달리 FTP 서버는 21번만 열린 상태에서 클라이언트가 접속되길 기다린다.

 

- 자료를 전송할 떄는 20번 포트를 사용하고, 21번 포트가 동작이 불가능하면 접속을 할 수 없다.

21번 접속이 가능하고 20번 포트가 동작하지 않으면 접속은 되지만 자료 전송을 할 수 없다.

 

- 송수신할 때 포트를 2개쓰므로 다소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AN(Local Area Network)  (0) 2018.07.06
[Web] 0. 웹이란? + 이더넷(LAN)  (0) 2018.07.06
[Unix/Linux] FTP 서버 실습  (0) 2018.04.10
데몬이란?  (0) 2018.04.10
[네트워크] 데이터 통신 기본구조  (1) 2018.03.10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