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Network Interface Card(NIC)
- 유닉스 시스템들은 각 시스템마다 NIC를 지칭하는 디바이스 파일명이 고유하다.
- 리눅스의 경우 eth0, eth1... 등의 이름으로 명명함.
장치의 설정은 커널 부트업시 자동으로 수행되며,
지원되지 않는 NIC는 직접 컴파일 후 디바이스를 적재해야 함
디바이스 파일
/lib/modules/2.6.18-274.el5/kernel/drivers/net 경로에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모든
네트워크 디바이스 파일이 존재한다!
(리눅스 종류나 버전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ls 명령어를 사용해서 디렉터리 이름을 확인해보며 들어간다.)
오늘의 주제는 IP 주소를 변경하는 것.
IP 주소를 변경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설정파일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NIC명]에 존재한다.
서브넷 마스크와 게이트웨이 정보도 변경할 수 있다.
1. IP주소를 변경하기 전에 우선 ifconfig 명령어로 IP 주소를 확인해 본다.
장치명은 eth0이고, IP 주소는 192.168.10.120임을 알 수 있다.
2. IP 주소를 변경하기 위해 네트워크 설정 파일로 들어간다.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vi 에디터로 네트워크 설정 파일을 열면
표시된 부분을 바꿔주면 된다.
IP 주소를 192.168.10.117로 변경하고 :wq를 눌러 설정 변경한 것을 저장한다.
설정 변경한 내용을 ifconfig로 다시 확인해본다.
네트워크 설정 파일 내용을 변경했음에도 적용이 되지 않는다.
수정한 파일 내용이 적용되려면 네트워크를 재시작해야 하기 때문이다.
네트워크를 재시작할 수 있는 명령어는 service network restart(시작은 start, 종료는 stop)
리눅스에 putty를 이용해 접속했지만 네트워크를 재시작하면서
연결이 끊겨서 리눅스 터미널 화면으로 이동한다.
ifconfig로 ip주소가 제대로 변경되었는지 다시 확인하였으나 eth0 디바이스 정보가 뜨지 않는다. 네트워크를 재시작하면서 eth0이 활성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ifup eth0
eth0장치를 활성화해준다. 비활성화하는 명령어는 ifdown eth0
장치를 활성화한 후에 IP주소를 확인해보자 변경한대로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x/Linux Server] DNS 1. DNS 이해 (1) | 2018.03.20 |
---|---|
UNIX/LINUX의 파일 구조(계층 구조) (1) | 2018.03.19 |
리눅스 Redirection 및 Pipe (1) | 2018.03.19 |
리눅스 기초 명령어 정리 (1) | 2018.03.16 |
[Linux/Unix]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 (4) | 2018.03.10 |
- Total
- Today
- Yesterday
- 자바
- 아우터조인이란
- 웹
- outer join
- Python dictionary
- 딕셔너리
- 파이썬
- 오라클 null값 집계함수
- 오라클 집계함수
- 파이썬 딕셔너리
- 글자수세기프로그램
- 파이썬기초
- WWW
- world wide web
- 아우터조인
- 웹이란
- JavaFX
- 오라클 null값
- 자바글자수세기
- 별찍기예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