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P 사용자 제한 설정하는 방법에/etc/vsftpd/user_list를 이용하는 방법, /etc/vsftpd/ftpusers를 이용하는 방법 두 가지가 있다.두 가지 방법은 완전히 별개이고, 따로따로 작동한다.각각 방법에 의해 접근이 거부되면 메시지가 다르게 뜬다. 1. user_list를 이용하는 방법/etc/vsftpd/user_list에 계정을 등록하면 접속을 제어할 수 있다.userlist_enable의 값과 userlist_deny값에 따라 결정된다.userlist_enable userlist_deny 의미 yes yes user_list에 등록된 사용자 접속 허용 안 됨 yes no user_list에 등록된 사용자만 접속이 허용됨 userlist_enable와 userlist_deny의 ..
NFS(Network File System)- 네트워크를 통해 파티션을 공유한다.- 유닉스 계열의 거의 모든 시스템에서 공유가 가능하다.- 시스템의 리소스를 직접 제공하는 서비스이므로 보안에 주의한다. 서버 - 192.168.10.227클라이언트 - 192.168.10.228 1. 서버/ 클라이언트에 nfs, portmap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st01@DNS a2]$ yum list nfs*Loaded plugins: fastestmirrorInstalled Packagesnfs-utils.x86_64 1:1.0.9-47.SUL2 installednfs-utils-lib.x86_64 1.0.8-7.2.z2.SUL2 installedAvailable Packagesnfs-utils.x86_64 1:1.0..
1. DNS 이해 - http://titanic1997.tistory.com/12?category=793107 2. CentOS에 DNS server 구축해보기 3. 다중 DNS Server 구축해보기 - http://titanic1997.tistory.com/17 4. Master-slave DNS server 구축 - DNS server 구축시 일어나는 오류들 정리 5. DNS 서버의 위협 요인 DNS의 역할을 이해하고, DNS 서버를 구축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www.ast015.org라는 임의의 도메인 서버를 구현해볼 것입니다. 다중 DNS 서버를 구축해봄으로써 DNS의 계층구조를 이해해보겠습니다. 오늘 구축해볼 서버의 계층구조를 표현해봤습니다. 리눅스 세 개를 설치해서, 루트도메인, 최상위 레벨..
1. DNS 이해 - http://titanic1997.tistory.com/12?category=793107 2. CentOS에 DNS server 구축해보기 3. 다중 DNS Server 구축해보기 - http://titanic1997.tistory.com/17 4. Master-slave DNS server 구축 - DNS server 구축시 일어나는 오류들 정리 5. DNS 서버의 위협 요인 앞서 DNS의 역할과 필요성, 구조, 동작원리와 DNS를 위협하는 요인들을 살펴봤습니다. CentOS에 DNS server 구축해보기 DNS 서버를 설치하기 위한 과정을 짧게 요약하겠습니다. 1. DNS 서버 설치 2. 환경 설정 3. /etc/named.conf 파일 생성 4. zone 파일 및 cache ..
DNS는 인터넷 하부망에서 중요한 시스템으로, 사용자들에게 중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에 대한 공격으로 인한 피해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DNS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구축하고, DNS 공격에 대한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1. DNS 이해 - http://titanic1997.tistory.com/12?category=793107 2. CentOS에 DNS server 구축해보기 - http://titanic1997.tistory.com/13 3. 다중 DNS Server 구축해보기 4. Master-slave DNS server 구축 - DNS server 구축시 일어나는 오류들 정리 5. DNS 서버의 위협 요인 DNS 이해 DNS (Domain Name System) 숫자로 구성된 네트워크 주소..
유닉스에서는 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자원과, 데이터를 쓸 수 있는 대상 모두가 파일처럼 간주되어 사용된다. 입출력 장치들도 모두 파일처럼 사용할 수 있다. 유닉스에는 여러가지 파일 종류가 있다. 1. 디렉터리 - 일종의 파일로 디스크에 저장되며, 다른 파일들을 조작하고 사용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유지한다. 윈도우의 폴더와 같은 개념이다. 2. 디바이스 - 장치를 나타내는 특수파일로, 물리적인 장치에 대한 내부적 표현이다. 키보드나 모니터, 프린터 등도 파일처럼 사용할 수 있다. 최상위 디렉터리는 /이다. 하위에 많은 서브디렉터리가 존재하고, 각 쓰임이 있다. 유닉스 리눅스 종류와 버전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유의하자. /bin - 기본 명령어 /sbin - 부팅 관련 명령어 /etc - 시스템 관리..
입출력 재지정 관련 명령어 - Redirection, Pipe 커맨드라인으로 입력되는 명령어들을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사용한다. Redirection (재지정) 1. Output Redirection (출력 재지정) 2. Input Redirection(입력 재지정) Output Redirection $ 명령어 > 파일 - 출력 재지정을 이용하면 명령어의 표준출력 내용을 모니터에 출력하는 대신에 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 (모니터 X 파일) - 출력 재지정 기호는 >이다. ex) cat > a.txt cat 명령어를 사용했고, 입력한 내용이 모니터에 출력되지 않고 파일이 새로 생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파일이 원래 존재하는 경우 > 기호를 사용하면 기존 파일의 내용이 사라지고 새로 출력받은..
1. 디렉터리 이동/삭제/생성/목록 출력 명령어 cd : 디렉터리 이동 명령어 - 옵션없이 사용 rmdir : 디렉터리 삭제 (디렉터리가 비워져 있어야 사용 가능) mkdir : 디렉터리 생성 ls : 디렉터리 출력 2. 현재 디렉터리 위치 확인 - > pwd 최상위 디렉터리에 있을 때 pwd로 확인해보면 /가 출력되고, /var/named 경로로 이동하고 난 뒤에 pwd로 확인해보면 /var/named가 출력됨을 알 수 있음 3. ls - 현재 디렉터리의 목록을 출력 -a : 숨겨진 파일의 목록까지 출력 -l : 파일에 대한 정보를 자세히 출력 -R : 하위 디렉터리 내용까지 출력 -h :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파일 크기 출력 -k : kb단위로 파일의 크기 출력 -i : 파일의 inode 번호를 같이..
Network Interface Card(NIC) - 유닉스 시스템들은 각 시스템마다 NIC를 지칭하는 디바이스 파일명이 고유하다. - 리눅스의 경우 eth0, eth1... 등의 이름으로 명명함. 장치의 설정은 커널 부트업시 자동으로 수행되며, 지원되지 않는 NIC는 직접 컴파일 후 디바이스를 적재해야 함 디바이스 파일 /lib/modules/2.6.18-274.el5/kernel/drivers/net 경로에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모든 네트워크 디바이스 파일이 존재한다! (리눅스 종류나 버전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ls 명령어를 사용해서 디렉터리 이름을 확인해보며 들어간다.) 오늘의 주제는 IP 주소를 변경하는 것. IP 주소를 변경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설정파일은 [/etc/sysconfig/networ..
Linux/Unix에서는 작업이 대부분 콘솔창으로 이뤄진다. 명령어를 사용할 경우 경로명까지 입력해야 될 때가 많으므로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에 대한 개념을 파악해야 한다. 1. 절대 경로 - 리눅스의 디렉토리(파일 저장소)는 계층적 트리구조다. 이 때 파일 시스템이 있는 최상위 디렉토리는 / 인데, 최상위 디렉토리부터 파일명에 이르는 경로를 절대 경로라고 한다. 2. 상대 경로 - 현재 자신이 위치한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하는 경로를 상대경로라고 한다. ./는 현재 디렉토리, ../는 상위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3. 예시 1. a.txt와 b.txt의 절대 경로 - 절대 경로는 최상위 디렉토리부터 나타내는 것이므로 a.txt => /Tmp/a.txt b.txt => /Home/A/b.txt이다. 2. a..
- Total
- Today
- Yesterday
- 글자수세기프로그램
- 자바
- 아우터조인
- 오라클 null값
- 별찍기예제
- WWW
- 파이썬
- 딕셔너리
- 파이썬 딕셔너리
- 오라클 null값 집계함수
- 오라클 집계함수
- 아우터조인이란
- outer join
- world wide web
- 파이썬기초
- JavaFX
- 웹이란
- Python dictionary
- 자바글자수세기
- 웹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